2023년 베스트 갯벌체험장 추천합니다.
요즘 당진에 있는 석문방조제가 핫한 갯벌체험장입니다. 긴긴 겨울이 지나고 이제 봄이 오고 있습니다. 봄에 가볼 만한 곳 중에 갯벌체험장도 있어요. 무료인 곳도 있지만 유료인 곳이 더 조개도 많고 체험할만한 것이 많습니다. 그러니 조금 돈을 내더라도 잡는 재미가 있어서 더 재밌답니다.. 갯벌체험은 남녀노소 할것 없이 좋아하는 체험입니다. 사실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더 좋아하는 체험이에요. 몇시간동안 즐겁게 캐 온 조개로 조개구이도 해먹고 조개찜도 해먹으면 너무 좋치요. 시장에서 산 바지락이랑은 차원이 다른 맛입니다. 온 가족 더불어 재밌는 하루를 보낼 수 있는 베스트 갯벌체험장 소개할게요...
추천하는 갯벌체험장
1. 당진 석문방조제
2. 인천 영흥 용담 갯벌체험장
3. 화성 백미리 갯벌체험장
4. 태안 진산리 갯벌체험장
5. 보령 군헌 갯벌체험장
tip: 꼭 김치통 같은 통을 가져가셔서 바닷물을 담아 조개를 해감시키세요. 바닷물로 2-3시간이면 해감이 됩니다... 선크림 잊지 마시고, 모자도 꼭 쓰고 가시길 바랍니다. 화장실은 필수예요. 갯벌 한가운데서 화장실 간다고 하면 짜증 납니다.
1. 당진 석문방조제
석문방조제로 가면 엄청나게 차들이 많답니다. 요즘엔 주말엔 천명이상씩 몰린다고 해요. 바로 홍맛조개. 키조개랑 운 좋으면 낙지등을 할 수 있어서 그렇쵸.. 다른 곳과 다르게 이곳엔 물속으로 조금 들어가야 해서 가슴장화를 입고 가야 편하답니다. 키조개는 가로로 살짝 나와있으니 찾으시면 됩니다. 석문방조제는 매번 사고가 많기로도 유명합니다. 그러니 물때를 잘 보고 나오시길 바랍니다. 물이 들어올 때는 엄청 빠르게 들어옵니다. 유채꽃과 드라이브로도 유명하고 더불어 이곳은 일몰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합니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사랑의 불시착'의 마지막 한 장면도 이곳 석문방조제에서 촬영되었다고 하지요. 하루종일 해루질 하시고 저녁에 일몰까지 보시면 정말 알찬 하루가 될 거 같습니다. 27번 자리가 포인트라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석문방조제 위치 보기 및 리뷰 보기는 여기를 누르세요.
https://place.map.kakao.com/8375543?referrer=daumsearch_local
2. 인천 영흥 용담 갯벌체험장
3월 10일에 개장하는 갯벌체험장입니다. 아름다운 영흥도에 있는 갯벌체험장으로 섬이지만 육지와 연육 된 지역이랍니다. 사철 바지락과 굴 낙지등이 있으며 주변에 십리포해수욕장과 낙조가 일품인 장경리해변이 있답니다. 이곳은 갯벌의 생태계를 잘 관리하였다는 자부심이 있는 곳이랍니다. 동죽과 바지락등을 캘 수 있으며 맛조개도 가능하다고 하니 맛소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생태계를 잘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큰 마을임으로 규칙을 잘 지키셔야 한답니다. 화성시에서 대부도를 거저 선재도를 지나 영흥도까지 연결이 됩니다. 차량을 이용해서 갯벌로 들어가실 수 있답니다. 영흥도까지 들어가셔야 하니 인천 근처의 다른 갯벌체험장과는 다르게 많은 어종의 해양생물을 관찰하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바지락과 가무락, 그리고 낙지, 동죽, 굴을 딸 수 있다고 하네요. 망둥어 낚시 체험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간단한 낚시채비를 하셔도 좋을 듯해요.
**이용료 : 성인 (만원) , 어린이 (8천 원), 장화 (2천 원) 망둥이 체험(만원)
영흥 용담 갯벌체험장 위치 보기 및 리뷰 보기는 여기를 누르세요.
https://place.map.kakao.com/1841031178?referrer=daumsearch_local
3. 화성 백미리 갯벌체험장
백미리 마을은 바닷가가 인접한 마을로 해산물의 종류가 많고 다양하다 하여 백미라고 불리다고 합니다. 물때 시간 확인하셔서 방문하시면 됩니다. 서울근교에 있다 보니 바지락이나 다양한 어종을 볼 수는 없다고 해요. 백미리는 갯벌이 그렇게 심하게 빠지진 않아서 장화를 신으면 힘들지 않게 걸을 수 있습니다. 하루종일 해루질을 하는 것이니 모자나 선크림을 잊지 마시길 바라요. 사실 갯벌체험장에는 가슴장화가 편하긴 합니다. 옷도 젖을 염려 없고 아이들도 실컷 마음대로 뛰어놀 수 있으니 말입니다. 갯벌체험장에 가시기 전에 화장실은 꼭 다녀오셔야 합니다. 갯벌로 들어가는 길이 조금 멀어요. 그러니 이동차량(천 원)을 타고 가시면 편합니다. 사실 갯벌체험은 어른들을 위한 체험이지요. 아이들은 그저 게잡고 조그마한 조개 잡고 노는 것이고요. 바지락이나 맛조개를 캐려면 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야 합니다. 그래도 수확의 기쁨이 있으니 한나절 고생한 보람이 있을 실 겁니다.
** 이용료 : 성인 (8천 원) 어린이 (5천 원) 장화 호미 대여료(2천 원)
** 1인당 2KG 망을 주신다고 합니다. 성인어른이 캘 수 있는 양이랍니다.
화성 백미리 갯벌체험장 위치 보기 및 리뷰 보기는 여기를 누르세요.
https://place.map.kakao.com/26957694?referrer=daumsearch_local
4. 태안 진산리 갯벌체험장
이곳은 제가 참 좋아하는 곳이랍니다. 갯벌에 가고 싶으면 주로 저는 여기를 간답니다. 가성비도 좋고 갯벌도 좋아서 맛조개를 실컷 획득할 수도 있거든요. 이곳은 2곳으로 나눠져 있는데요, 주로 펜션 근처로 가르쳐주는 내비게이션 때문에 그쪽으로 가는데요, 저는 국제종묘화원 쪽으로 갑니다. 이쪽이 훨씬 넓고 좋아요. 진산리 어촌계분들이 나오셔서 이용료를 받으시는데요, 아주 친절하시고 소박하십니다. 장화나 호미를 가져오시면 더 좋고요. 맛소금 필수입니다. 이곳은 맛조개가 많아요 맛조개를 캐다보면 동죽도 자연스럽게 캐게 됩니다. 맛소금을 케첩통에 넣어서 가져오면 맛소금도 아끼실 수 있고 좋습니다. 물때를 확인하셔서 물이 아주 많이 빠졌을 때 오시면 좋답니다. 엄청 넓어서 사람이 많아도 많이 캘 수 있어요. 서산에서 오시는 분들이 주로 많습니다. 태안이나 안면도에서도 갯벌체험장은 많은 데요, 거의 가격이 만원입니다. 아니면 꽃지해수욕장이나 무료로 들어가는 곳도 있는데요, 아무래도 바지락이나 그런 것이 별로 없겠죠.. 유료 갯벌장으로 가시는 것이 여러모로 좋답니다.
**이용료 : 성인 (3천 원) , 어린이 (2천 원) 장화나 호미 대여 (2천원)
**큰 김치통이나 통을 가져오시면 바닷물을 가져가셔서 해감하기 좋습니다. 바닷물로 해감하면 2시간이면 해감이 다 됩니다.
진산리 갯벌체험장 위치 보기 및 리뷰 보기는 여기를 누르세요.
https://place.map.kakao.com/217185499?referrer=daumsearch_local
5. 보령 군헌 갯벌체험장
보령에 있는 이 갯벌체험장은 대천과 안면도를 잇는 해저터널 바로 옆에 있답니다. 근처에 관광지도 많습니다. 유명한 대천해수욕장도 있답니다. 넓은 갯벌에 싱싱한 조개와 해산물을 직접 캐서 가져가시고 근처의 펜션에서 구워드시면 즐거운 여행이 될듯싶습니다. 마찬가지로 물때 확인은 필수입니다. 이용료가 비싼 대신 바지락은 엄청 많습니다. 갯벌체험장에 다녀보면 무료인 곳도 꽤 있는데요, 그런 곳은 바지락이나 조개가 별로 없어요. 캐는 재미를 맛보지 못합니다. 이용료가 비싼 곳은 그만큼 조개가 많고 자원이 풍부하다는 거겠지요. 주차장도 넓고 장화나 시설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단체 이용객도 많이들 온다고 해요. 주로 물때는 4시간 정도 캘 수 있어요. 물이 빠지는 시간과 물이 다시 들어오는 시간차이가 4시간 정도 됩니다. 망을 하나씩 주시는데 1개 망밖에는 채취할 수 없다고 쓰여 있답니다. 갯벌장까지는 300m 정도 되니 좀 걸으셔야 합니다. 조개 크기가 꽤 커서 이곳은 재미가 좋은 곳입니다. 즐거운 체험장 되시길 바라요...
**이용료 : 어른 (만 2천 원), 어린이 (8천 원) 호미 장화 바지락 담는 망 주십니다.
**선크림 잊지 마시고 모자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보령 군헌 갯벌체험장 홈페이지 여기를 누르세요.
http://brmud.co.kr/
보령 군헌갯벌체험장
brmud.co.kr
'여행정보 > 국내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전남 담양 가볼만한 곳 추천 당일여행 (2) | 2023.03.16 |
---|---|
2023 벚꽃 보기 가장 좋은곳 명소 축제 추천 (0) | 2023.03.15 |
충남 태안 가볼만한 곳 여행코스 축제 맛집 추천 (1) | 2023.03.07 |
2023년 경남 봄철 추천여행지 15(feat 경남 관광청) (1) | 2023.02.28 |
광양 매화축제(feat 광양여행정보) (0) | 2023.02.25 |
댓글